탁구대회는 입상이 목적이 아닙니다.
나의 탁구역사를 기록하는 것입니다

나의 탁구 HISTORY 슈퍼스타탁구

o 재난대피
제목 ■ 선박사고 대피요령
작성자 동쪽하늘 작성일 2014.04.29 조회수 1513
① 선박사고 발생 시 큰소리로 외치거나 비상벨을 눌러 사고발생을 알립니다.
② 선박 내 화재 발생 시 소화기를 이용해 불을 끄고, 창문을 깨서 환기시킵니다.
③ 위험한 상황에까지 이르렀을 때는 의자 밑이나 선실에 보관된 구명조끼를 입고 갑판으로 이동하여 물속에서 움직이기 쉽도록 가능한 한 신발을 벗습니다.
④ 출입문, 비상구가 열리지 않을 때는 선내에 비치된 도끼를 이용하여 창문을 깨고 탈출합니다.
⑤ 선장, 인명구조요원의 지시에 따라 침착하게 출입문을 통하여 외부로 탈출합니다.
⑥ 구명조끼를 착용하고 물속에 뛰어든 사람은 신속하게 육지 쪽으로 이동하고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보온을 유지합니다.



1. 신고와 탈출
 
- 사고 발생을 인지했EK면 비상벨을 누르거나 소리를 쳐서 사고를 알려라!
- 구명조끼를 입고 신발을 벗어라!
  : 신발을 신고 있으면 물속에서 행동이 어렵다.
- 외부로 탈출해라
  :혹시 화재로 인해 연기가 자욱하다면 고개를 숙이고 기어가라
 
 
2. 표류를 대비
 
※ 챙겨야 할 물건의 우선순위는 응급처치, 물, 식량, 생활EH구, 신호와 항해도구, 부유 장구류 순

- 물 관련 : 깡통에 포장된물, 태양이용증류기, 플라스틱 물통
- 식료품 계통: 딱딱한 사탕이나 육포 및 통조림류
- 부유 장구류 : 구명조끼, 구명부환, 혹은 부력이 있는 쿠션, 상장 및 PT병, 공기주머니 등
- 생활 도구류 : 낚시 도구, 칼, 담요와 모포
- 신호부품 : 라디오, 거울, 손전등, 신호탄, 국제 조난용 신호기
- 항해 도구 : 근해 지도와 해도, 나침반, 시계
 
 
3. 탈출 후 저체온증 피하기
 
- 가능한 한 빨리 부유물 위로 올라 물에서 빠져나와야 하며,
  그것이 불가능하다면 조금이라도 신체의 많은 부분을 물 밖으로 내놓아라
- 할 수 없이 물속에 있어야 한다면 물속에서의 활동은 최소한으로 자제하라!
  : 물 속에서 활동은 더 많은 열을 더 빨리 빼앗겨서 저체온증에 걸리기 쉽다.
- 여러 명이 함께 있을 때에는 서로 껴안는 것이 효과적이다.
  : 머리는 물 밖에 내놓고 몸의 접촉 부이를 최대로 하여
    팔로 옆 사람의 구명동의를 껴안으라.
목록